안녕하세요, 서울의 대중교통을 스마트하게 이용하고 싶은 여러분!
오늘은 서울의 핵심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인 141번 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도봉산에서 강남을 넘어 염곡동까지 서울의 주요 동선를 잇는
141번 버스는 많은 시민들의 소중한 이동 수단인데요.
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노선, 시간표, 그리고 요금까지 2025년 최신 정보로 꼼꼼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141번 버스, 어디를 지나갈까? (노선 정보)
141번 버스는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를 기점으로 하여
서울 서초구 염곡동의 염곡동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입니다.
서울의 북동부와 강남을 직선에 가깝게 연결하며, 약 50여 개의 정류장을 거칩니다.
노선의 약 95%가 직선으로 이루어져 선형이 매우 아름다운 노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경유지:
서울버스 실시간 노선 위치 앱 다운받기 👈염곡동 방면 (종점행):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도봉고등학교 – 도봉한신아파트 – 도봉역.성황당 – 신도봉사거리 –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북부역 – 방학사거리 – 도봉보건소 – 도봉구민회관 – 쌍문역 – 우이1교앞 – 수유3동우체국 – 수유(강북구청)역 –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 미아역.신일중고 – 도봉세무서.성북시장 – 종암경찰서 – 고려대역.고대앞사거리 – 경동시장 – 동대문구청 – 마장축산물시장 – 성동구청.왕십리역 – 뚝섬서울숲 – 성수대교남단.현대아파트 – 압구정역 – 학동사거리 – 청담사거리 – 강남구청역 – 삼성2동주민센터 – 봉은사역 – 삼성역 – 무역센터.삼성역 – 한국무역센터 – 학여울역 – 대치아파트 – 도곡역 – 매봉역 – 양재역 – 양재전화국 – 교육개발원입구 – 일동제약사거리 – 양재2동주민센터.영동중앙교회 – 염곡사거리 – 염곡동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방면 (기점행): 염곡동 – 염곡사거리 – 양재2동주민센터.영동중앙교회 – 일동제약사거리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전화국 – 양재역 – 매봉역 – 도곡역 – 대치아파트 – 학여울역 – 무역센터.삼성역 – 삼성역 – 봉은사역 – 삼성2동주민센터 – 강남구청역 – 청담사거리 – 학동사거리 – 압구정역 – 성수대교남단.현대아파트 – 뚝섬서울숲 – 성동구청.왕십리역 – 마장축산물시장 – 동대문구청 – 경동시장 – 고려대역.고대앞사거리 – 종암경찰서 – 미아역.신일중고 –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 수유(강북구청)역 – 수유3동우체국 – 우이1교앞 – 쌍문역 – 도봉구민회관 – 도봉보건소 – 방학사거리 – 도봉소방서 –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북부역 – 신도봉사거리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 도봉한신아파트 – 도봉고등학교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노선의 특징: 141번 버스는 도봉산에서 강남까지 이어지는 긴 노선으로, 서울 동북부 주민들이 강남권으로 이동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강남 지역에서는 정체 구간을 통과하므로 배차 간격이 다소 벌어질 수 있습니다. 서울 시내버스 최초로 친환경 블루시티(하이브리드) 차량을 운행한 노선이기도 합니다.
연계 지하철역: 141번 버스는 1, 3, 4, 7호선 및 우이신설선 등 다양한 지하철 노선과 연계되어 있어 환승 편의성이 뛰어납니다. (도봉산역, 도봉역, 방학역,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고려대역, 왕십리역, 압구정역, 강남구청역, 봉은사역, 삼성역, 학여울역, 도곡역, 매봉역, 양재역 등)
2.141번 버스, 언제 올까? (시간표 및 배차 간격)
141번 버스는 아진교통에서 운행하며, 총 30여 대의 차량으로 운영됩니다.
첫차/막차 시간 (기준: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출발):
- 첫차: 04:00 (평일, 토요일, 공휴일 동일)
- 막차: 22:10 (평일, 토요일, 공휴일 동일)
배차 간격:
- 평일: 약 9분
- 토요일: 약 10분
- 공휴일: 약 11분
주의사항: 위 배차 간격은 평균이며, 출퇴근 시간대의 교통 혼잡이나 도로 상황에 따라 지연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실시간 버스 도착 정보는 카카오버스, 네이버 지도, 서울시 교통정보 시스템(TOPIS) 앱 등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141번 버스, 얼마일까? (요금 정보)
서울버스 실시간 노선 위치 앱 다운받기 👈141번 버스는 서울시 간선버스 요금 체계를 따릅니다.
2023년 8월 12일 조정된 요금이 현재(2025년 6월 기준)까지 유지되고 있으며,
최근 지하철 요금 인상이 있었지만 버스 요금은 변동이 없습니다.
구분 | 교통카드 (원) | 현금 (원) | 조조할인 (교통카드) (원) |
일반 | 1,500 | 1,500 | 1,200 |
청소년 | 900 | 1,000 | 720 |
어린이 | 550 | 550 | 440 |
조조할인 적용 기준: 조조할인은 오전 3시부터 6시 30분까지 교통카드로 승차 시 적용됩니다. 승차 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심야버스에는 조조할인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환승 할인 제도: 서울시 대중교통은 **’통합환승 할인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이용 수단이나 횟수에 관계없이 총 이용 거리에 비례하여 요금을 부과합니다.
- 기본 구간: 일반 버스는 10km, 광역버스는 30km까지 기본요금만 부과됩니다.
- 추가 요금: 기본 구간을 초과할 경우 5km마다 100원 (청소년 80원, 어린이 50원)의 추가 요금이 부과됩니다.
- 환승 유효 시간: 하차 후 30분 이내에 다음 교통수단에 승차해야 할인이 적용됩니다. 단, 오후 9시부터 다음 날 오전 7시까지는 환승 유효 시간이 60분으로 연장됩니다.
- 환승 횟수: 최대 4회까지 환승(총 5개의 교통수단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하차 태그의 중요성: 환승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승차 시뿐만 아니라 하차 시에도 반드시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접촉해야 합니다.
교통비 할인 및 지원 제도:
- K-패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
- 기후동행카드: 서울 전 지역 지하철 및 서울시 면허 버스를 월 7만원(선택 시)으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입니다.
141번 버스는 서울의 동북부와 강남을 잇는 중요한 노선인 만큼,
이 정보를 통해 여러분의 대중교통 이용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이 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다시 질문해주세요!